Management

TKM ; Team Knowledge Management

HRPedia 2023. 2. 9. 22:39

팀 수준의 지식관리가 조직의 혁신과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실증 연구들이 있습니다.

지식관리에 대한 두가지 접근방식에 입각하여, 팀 지식의 축적(양적 총량)과 지식의 활용(utilization)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습니다.

 

  • 팀 지식 축적(Team knowledge stock : TKM)이란 팀내 리더와 구성원이 보유한 직무 관련 지식과 기술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지식이 클수록 새로운 정보와 기회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능력 제공되고, 축적된 지식이 많을 수록 기존 정보를 재조합하고,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 기회가 있습니다. 
  • 팀 지식 활용(Team knowledge utilization : TKM)이란 팀내에서 이용 가능한 지식이 활성화되고 활용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팀 구성원들은 지식자원을 활용하여 보유 지식을 엑세스하고 탐색하며,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식활용으로 촉진된 학습과 사고는 새롭고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Sun Young Sung, Jin Nam Choi(2012), "Effects of team knowledge management on the creativ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teams"에서 살펴본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에 쓰인 용어들을 다음과 같이 개념화되고 있습니다. 

  • 직관적 인지 스타일 (Intuitivecognitivestyle) : 다양한 관점으로 주어진 상황을 분석하고 논리와 규칙에 구속되지 않는 특징을 지닙니다. 직관적 리더는 멤버들의 관점 변화를 이끌어 새로운 솔루션 발견에 유리합니다. 다양한 정보를 인지하고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 체계적 인지 스타일 (Systematiccognitivestyle) : 명확한 절차와 정확한 지침을 따르는 특징입니다. 구성원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구성하는 지시적 리더에 가까운 스타일입니다. 구성원들이 수동적으로 주어진 규범을 따르게 하여 창의적 방법을 모색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 : 환경 불확실성이란 경영환경이 예측 불가능하고 낯설기 때문에 발생하는 잠재적 위협을 의미합니다. 불확실한 환경에서 의사결정자들은 미래를 자신있게 예측하기 어려운 특징입니다. 불확실성이 클수록 지식과 정보가 중요해지고, TKM이 팀 창의성에 중요한 역할입니다.
  • 팀 창의성 및 팀 재무적 성과(Team creativity and team financial performance) : 창의적인 팀이 통념에 의존하는 팀보다 성과에 긍정적이라는 점을 새롭게 규명합니다. 지식관리 활동을 통해 팀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 절차 및 서비스를 식별함으로써 팀의 성과 향상에 기여합니다. TKM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혁신적인 대안과 창의적 솔루션을 만들고자 하는 중간 프로세스에 기여하지 않는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TKM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리더의 인지 스타일과 환경 불확실성이 TKM-창의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TKM 차원 중 팀 지식 활용만 팀 창의성에 중요한 예측 변수가 되었습니다. 
팀 지식축적은 직관적이고 체계적인 리더일 수록 팀 창의성과 긍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리더의 체계적 인지 스타일이 높을 때, 환경 불확실성이 높을 때 팀 지식 활용과 팀 창의성 간의 긍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한편, TKM 차원 중 팀 지식 활용만 팀 창의성에 중요한 예측 변수가 되었습니다. 
팀 지식축적은 직관적이고 체계적인 리더일 수록 팀 창의성과 긍정적 관계를 지니고 있었으며, 리더의 체계적 인지 스타일이 높을 때, 환경 불확실성이 높을 때 팀 지식 활용과 팀 창의성 간의 긍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한편, 팀 창의성은 팀별 재무 성과(6개월)를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습니다. 이는 팀 차원의 창의성이 조직 성과에 기여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 인지 스타일을 가진 리더일수록 팀 창의성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습니다.

팀 창의력 증진을 위해 리더들은 팀 전체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문제 해결 과정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융기관의 상황적 특성이 리더의 체계적 인지스타일의 상관관계에 영향 미쳤을 수 있으며, 고도로 구조화된 업무 성격상 체계적인 인지 스타일이 더 창의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는 환경 불확실성은 팀 창의성에 미치는 부정적 상관관계에 대한 해석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조직 팀의 딜레마를 반영하여, 상황이 불확실할 때 덜 창의적입니다. 즉, 팀들은 더 창의적일 필요가 있을 때 덜 창의적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경 불확실성은 지식 활용과 팀 창의성 사이의 관계에 긍정적 조절효과를 지닙니다. 
팀이 변화하는 환경 요구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지식과 기술의 효과적인 사용이 중요하며, 팀 창의성을 증진시킵니다.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은 지식과 기술의 복잡한 조작과 광범위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지식 활용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희석하게 됩니다. 

 

이상의 결과들은 TKM,팀 창의성,재무성과 간의 관계를 이론화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함에 의미가 있는 연구라 할 것입니다. 

지식의 양보다는 활용이 중요하고, 체계적 인지스타일의 리더가 팀 창의성을 가져온다는 결과는 실무적인 시사점 역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조직이나 업무에 따라 성과에 도움이 되는 ‘창의성’의 형태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결국 부지런한 사람들이(지식활용도 높은 팀, 체계적인 리더) 부지런할 수 밖에 없는 환경(불확실한 환경)에 놓였을 때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지식을 보유하는 것만이 아닌,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 창의성 확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팀 리더가 체계적인 인지 스타일을 가질 수록 팀 창의성이 증진되고,팀이 높은 불확실성 하에서 운영될 때 팀 창의성에 대한 지식 활용의 가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