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Behavior(지식관리행동)

HRPedia 2023. 2. 13. 09:48

조직에서 직원의 창의성을 통해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은 조직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핵심 경쟁 역량입니다. 

창의성을 높이는 데 있어, 직원들 간의 지식 교환은 개인과 직원, 팀, 조직 전체 관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성공사례가 존재합니다. 
지식과 정보의 재조합, 조정 등의 과정을 통해 창의성을 높이는 원천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조직에서 개개인이 보유한 지식을 공유하려고 할 때 직면하는 딜레마가 있습니다.

경쟁자들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공공재가 되기 때문에 지식공유를 꺼려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개인에 따라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내적 갈등이 수반될 수도 있습니다.

조직간 관심사, 동기 불일치를 유도할 수 있으며, 개인의 지식은 조직 內 상하 관계에서의 역량과 노하우로 작용되어 지식공유를 하지 않으려는 행동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식들을 공유하고 활용해야 하는 필요성을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행동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함을 의미(딜래마)

자기만의 지식이나 기술, 노하우를 공개할 경우 개인의 경쟁력은 저하될 수 있으나, 팀/조직의 경쟁력은 향상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 입장에서는 지식공유에 인색할 수 있고, 조직 입장에서는 지식 공유를 확산시키기를 원합니다.

 

YOUNG WON RHEE AND JIN NAM CHOI(2017)의 "Knowledge management behavior and individual creativity: Goal orientations as antecedents and in-group social status as moderating contingency"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목표 지향성을 학습, 회피, 증명 3개의 개념으로 개인의 행동을 구분하고 이것이 지식공유와 은폐, 조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하였습니다. 

지식 공유와 은폐, 조작이 창의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서 사회적 지위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직원 개개인이 지식을 관리하는 특정한 전략적 행동과 지식적 딜레마와 한계성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화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식공유란 업무 정보 제공 및 타인을 돕는 노하우,
지식은닉이란 개인이 의도적으로 보류하거나 보류하려는 시도,
지식조작은 자신의 지식과 가치를 의도적으로 과장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연구는 한국 mba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성별, 연령, 교육, 조직 순위 등 인구 통계학적 제어는 물론 구성원의 사회적 지위 및 직무 상호 의존성에 대한 모델별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학습을 지향하는 직원들에게 지식공유는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습니다. 
직원들은 다른 직원과의 지식 교환에 의해 촉진될 수 있는 학습으로 인한 숙달 등 지식 공유를 통해 추가적인 편익과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지식 공유는 다른 사람들과 토론함으로써 조직하고 다듬고, 조직원의 역량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지식 공유를 통해 신뢰와 존중을 얻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동료들에게 보답으로 자원을 확장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둘째, 목표 방향성을 피하는 것은 지식 은닉과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직원들이 기밀 기술과 노하우에 내재된 독점적인 정보 파워를 유지하는 도구로 활용됩니다. 
이에 직원들은 방해 없이 핵심 업무에 집중하거나 인지 자원 보존 및 개인차원에서 향상된 시간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지식 은닉을 할 수 있습니다.

 

셋째, 목표 방향은 지식 조작과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지식을 과장하고 잠재적 단점을 생략하거나 축소하여 지식의 가치를 촉진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목표를 입증하려고 하는 직원은 자신의 역량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를 열망하기 때문에 지식 조작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능력 있는 직원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고 인센티브, 승진, 평판과 같은 보상을 추구합니다. 
좋은 인상을 심어주고 성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Chiaburu &Marinova, 2005) 치열한 경쟁을 함으로서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합니다. 

 

넷째, 지식 은닉은 창조적 성과와 부정적 관련이 있습니다. 
지식 은닉은 상호 아이디어 교환의 소셜 네트워크로부터 직원들을 격리시킬 수 있습니다. 지식 은닉은 사회적 교환 및 네트워크 이점을 박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식을 숨김으로써 무료 탑승자로 불신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지식 조작은 창조적 성과와 긍정적 관련이 있습니다.   
지식의 가치를 과장 하고 그 중요성을 홍보하여 다른 사람들과 지식 교환을 유도하고 지식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직원들은 자신이 제공하는 지식의 가치를 다른 사람에게 성공적으로 납득시킬 때(Harris, Kacmar, Zivnuska, &Shaw, 2007) 자신의 기여에 대한 추가적인 가치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여섯째, 사회적 지위가 높을 수록 지식은닉과 창조성 사이에 부정적 관계가 존재합니다. 
자신을 고품질 지식의 중요한 원천으로 간주하고 집단 목표 달성을 위한 노하우를 제공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이 존재합니다. 

일곱째, 사회적 지위가 높을 수록 지식조작와 창조성 사이의 긍정적 관계가 존재합니다. 
지식조작을 통해 가치를 촉진하여 긍정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높은 지위의 구성원에게 부여된 신용과 권위에 기초하는 지식 조작은 낮은 지위의 구성원들에게 지식의 가치를 홍보하고 메시지를 복잡하게 만들어 혼란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목표 지향성이 KMB에 대한 직/간접적으로 직원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또한 KMB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 수준에서 지식을 다루기 위한 행동 전략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있으며, 개념적 및 경험적 분석은 세 KMB가 뚜렷한 동기 유발 선례를 특징으로 하며 서로 다른 수준의 창의성과 관련이 있음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할 것입니다. 

특히 지식공유만으로 창의성이 발현되지는 않는다는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지식공유를 넘어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