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월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에피월드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4)
    • Management (9)
    • HR Q&A (1)
    • 육아 Q&A (11)
    • 제품 Review (2)
    • 기타 정보 (1)

검색 레이어

에피월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Strength of the HRM system(인사관리 시스템의 강도)

    2023.04.08 by HRPedia

  • Organizational culture(조직문화) & Organizational climate(조직풍토)

    2023.02.22 by HRPedia

  • Organizational trust(조직 신뢰)

    2023.02.19 by HRPedia

  • Organizational Justice(조직 정의, 조직 공정성)

    2023.02.15 by HRPedia

  • Knowledge Management Behavior(지식관리행동)

    2023.02.13 by HRPedia

  • TKM ; Team Knowledge Management

    2023.02.09 by HRPedia

  • Within Person Affect-Performance Relationships

    2023.02.09 by HRPedia

  • Pattern of Honeymoons and Hangovers(허니문 효과, 행오버 효과)

    2023.02.07 by HRPedia

Strength of the HRM system(인사관리 시스템의 강도)

HRM system strength(인사관리 시스템 강도)는 2004년 Bowen & Ostorff에 의해 제안된 개념입니다. 이는 인사제도를 구축함에 있어서 조직의 생각을 구성원이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이하의 내용 역시 Bowen & Ostorff(2004)에 기반하여 정리하였습니다. 경영학에서는 인사관리 제도와 성과 사이의 연관성에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간의 많은 연구를 통해 HR시스템은 조직의 효율성과 경쟁우위 달성을 촉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점에 의심의 여지가 없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여전히 연구되고 있는 부분, 명확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은 인사시템이 과연 어떻게 성과에 기여하냐의 문제이며, 이 부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즉, 실..

Management 2023. 4. 8. 23:57

Organizational culture(조직문화) & Organizational climate(조직풍토)

조직문화와 더불어 조직풍토라는 용어가 경영학과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직문화와 조직풍토는 일견 비슷한 용어처럼 보이지만 다릅니다. 조직문화는 구성원 모두의 마음에 깔려있는 기저, 전제, 가치관, 신념으로 조직의 형태를 구성하며 조직에 새로 합류한 사람에게 그렇게 생각하고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조직문화는 조직에서 수년동안 누적되어 온 암묵적인 전제, 가정, 신념, 가치로 오랜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쉽게 바뀌거나 조작되기 어렵습니다. 조직문화는 오랜기간 이어져온 이야기를 통해 전파되고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내부 통합을 이루어내는 것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식을 통해 전달됩니다. 이에 반해, 조직풍토는 비교적 현재 우리 조직에 퍼져있는 분위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조직 ..

Management 2023. 2. 22. 00:37

Organizational trust(조직 신뢰)

신뢰, trust는 개인과 그룹의 효과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협력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직에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신뢰란 타인의 능력, 신뢰성, 윤리적 행위에 기초하여 타인의 행동에 의존하는 의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신뢰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합니다. Rotter(1980)은 개인이 다른 사람이나 집단과 한 약속에 대해 이를 믿어도 될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로 정의하였습니다. Gambetta(1988)은 신뢰란 상대방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거나 적어도 위해를 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률이 충분히 높은 상태로 정의하였습니다. Coleman(1990)은 신뢰에 대해 상대방이 어떻게 갚을지 알기도 전에 사회적 교환관계에 개입하는 것이라 하였고, Meyer Davis & Sch..

Management 2023. 2. 19. 22:00

Organizational Justice(조직 정의, 조직 공정성)

조직 정의 또는 조직 공정성이라 해석되는 Organizational Justice는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으로부터 느끼는 공정함의 정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조직 내에서 조직원 각자가 받고 있는 보상이 공정하게 분배되고, 해당 분배의 절차가 정의로우며 구성원을 대하는 관계 및 정보의 오픈 정도가 정의로운지에 대한 논의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Organizational Justice는 관점에 따라 4가지 혹은 3가지 개념으로 유형화 할 수 있습니다. 조직 정의의 초기 연구는 Homans(1961)의 분배적 공정성에서 개념화 되었습니다. 이는 Adams(1965)의 형평성 이론에 근거하고 있으나 절차 측면은 간과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후 Thibaut & Walker(1975)는 분배 결과의 ..

Management 2023. 2. 15. 22:37

Knowledge Management Behavior(지식관리행동)

조직에서 직원의 창의성을 통해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은 조직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핵심 경쟁 역량입니다. 창의성을 높이는 데 있어, 직원들 간의 지식 교환은 개인과 직원, 팀, 조직 전체 관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성공사례가 존재합니다. 지식과 정보의 재조합, 조정 등의 과정을 통해 창의성을 높이는 원천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조직에서 개개인이 보유한 지식을 공유하려고 할 때 직면하는 딜레마가 있습니다. 경쟁자들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공공재가 되기 때문에 지식공유를 꺼려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개인에 따라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내적 갈등이 수반될 수도 있습니다. 조직간 관심사, 동기 불일치를 유도할 수 있으며, ..

Management 2023. 2. 13. 09:48

TKM ; Team Knowledge Management

팀 수준의 지식관리가 조직의 혁신과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실증 연구들이 있습니다. 지식관리에 대한 두가지 접근방식에 입각하여, 팀 지식의 축적(양적 총량)과 지식의 활용(utilization)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습니다. 팀 지식 축적(Team knowledge stock : TKM)이란 팀내 리더와 구성원이 보유한 직무 관련 지식과 기술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지식이 클수록 새로운 정보와 기회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능력 제공되고, 축적된 지식이 많을 수록 기존 정보를 재조합하고,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 기회가 있습니다. 팀 지식 활용(Team knowledge utilization : TKM)이란 팀내에서 이용 가능한 지식이 활성화되고 활용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팀 구성원들은 지식자..

Management 2023. 2. 9. 22:39

Within Person Affect-Performance Relationships

경영학에서 감정(정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 입니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므로 일을 하는 과정에서도 개인의 정서적 상태가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먼저 감정/정서와 관련된 용어의 기본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ffect(감정) = Emotion(정서)와 Mood(기분)을 포괄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ffect는 "사람들이 체험하는 광범위한 느낌의 총체로 정의됩니다. 감정은 정서 또는 기분이라는 형태로 체험될 수 있습니다. Emotion은 특정 사건에 의해 발생되며 몇 초 또는 몇 분 정도로 잠깐 동안만 지속됩니다. 속성상 매우 특수하며 무수하게 많은 형태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분노, 공포, 슬픔, 행복, 역겨움, 경악 등 수 많은 특수한 감정들이 있..

Management 2023. 2. 9. 11:02

Pattern of Honeymoons and Hangovers(허니문 효과, 행오버 효과)

우리가 새로운 직장을 들어가게 될 때, 그리고 그 안에서 오랜기간 머물면서 느끼는 감정들이 있습니다. 경영학에서도 처음 출근을 했을 때 약간의 설렘을 느끼는 것을 "허니문 효과", 그리고 이후 초기 설레임이 사라지는 현상을 "행오버 효과"라 부릅니다. Honeymoon effect : 입사(이직)를 한 경우 첫 출근에 대한 약간의 설레임 등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현상 Hangover effect : 입사 이후 회사를 다니 초기 설레임이 점차 사라지고 입사 초기 가졌던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현상 --------------------------------------------- 참고로 정치에서도 허니문 효과란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정치에서 사용하는 허니문 이펙트는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나..

Management 2023. 2. 7. 22: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에피월드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